완벽한 기하학 평면으로 출발한 이 주택은 나의 첫 주택작업이다. 오래 전 루이스 칸은 팔라디오의 9분할 기하학체계를 트렌트 탈의장(Trenton bath house, 1955 )을 통해 단위공간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처럼 기하학이 언제나 또 다른 가능성을 낳을 수 있는 유효함을 개인적으로 믿고 있다. 동시에 거주의 본질에 다가갈 7가지 통로인 자연, 장소, 경계, 거리, 행위, 가구, 최소의 건축의 발견을 통해 주거 안에서 삶과 어떻게 밀착되어 주택으로서 작동 할 지에 대한 첫 실험 작업의 의미 역시 담고 있다. 이 주택의 건축 프로그램은 70대 화가인 여성 노인을 위한 최소의 거주와 작업 공간 그리고 갤러리 이다. 주택의 위계는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치 만달라 (MANDALA)의 형상과 흡사한 9X9는 절대적 기하학의 영역으로부터 새로운 공간구조의 가능성을 위한 설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기존 주거 공간에서의 영역, 가구, 경계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또 다른 보편성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의 첫 실험 주택 프로젝트이다. 첫 번째 거주에서의 영역은 가구에 의해 정의( define )되어 있다. 즉 가구의 기능이 영역을 정의하여 소파와 TV가 놓인 곳은 거실로 식탁이나 주방기구가 놓인 곳은 주방, 양변기와 세면대가 놓인 곳은 화장실. 침대가 놓은 곳은 침실로 각각 정의되어있다. 이 정의된 영역으로부터 탈피하여 퍼니쳐 코리도 ( Furniture corridor )란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영역을 능동적으로 정의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폭 600MM~800MM의 퍼너쳐 코리도는 “최소기능의 수납“ 이라는 장치로서 주거에서 가구, 위생, 전기와 설비, 환기 및 냉, 난방 시스템을 수납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또 다른 6X6 주택 프로젝트에서의 퍼니처 코리도는 계단, 애완견, 조경까지 수납의 기능이 진화되어 수직적으로 확장되게 된다. 이 장치에 각각 접해 있는 영역은 퍼니처 코리도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나 무빙 월의 개폐여부에 따른 가구 사용 시 그 기능에 의해 정의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다른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변의 영역이 된다. 두 번째 거주에서의 경계는 가구로 정의된 영역을 물리적인 벽에 의해 나뉘어 전통적인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며 동시에 집과 외부정원 역시 외, 내부의 경계가 명확하다. 그러나 이 실험주택에 적용된 가로 9M와 세로9M는 기하학의 엄격한 경계의 설정 ( 건축의 원형 )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1.8MX1.8M, 1.2MX1.2M의 2가지 크기로만 구성된 다공( POROUS )에 의해 실상 내, 외부의 경계가 해체되어가길 의도한 것이다. 우리는 이미 ” POROSCAPE ” 이라는 또 다른 프로젝트에서 전면 파사드에 적용된 1.8MX1.8M 크기의 다공을 통해 “다공성에 의한 투명성”을 시도한바 있다. 주변 외부 경관은 다공을 통해 차경 된 풍경이 내부 중정의 정원과 만나 9X9의 기하학 영역 설정인 물리적인 외벽이 서서히 해체되어 마치 태초의 자연 속 거주 풍경을 경험하게 될지도 모른다. 또 다른 외, 내부 경계의 해체는 퍼니처 코리도와 내부 중정 사이에 유리벽체로 구성된 영역에서 발생된다. 이 유리벽체는 요철의 형태로 내부중정을 따라 가며 외부 현상과 맞닿아 있다. 내부 영역과 영역 사이의 외부정원은 천장 슬라브에 적용된 1.2MX1.2M크기의 다공 틈으로 빛이 내리쬐고 그 틈으로 스며드는 빛은 내부로 유입되어 보이지 않은 경계 벽의 그림자를 드리우거나 비와 눈이 내리는 현상의 경험을 통해 내, 외부의 경계는 흐려진다.
9×9 Experimental House My first residential project departed with a geometric plan with a strict 9×9 grid system. Similar to Louis Kahn who demonstrated a possibility of unitary spaces in Trenton Bath House (1955) through Andrea Palladio’s geometric system, I personally believe that the validity of geometry creates further possibilities. And it also stands for my first experimental project concerned with how it remains close to dwelling to let it work as a house through the seven paths that approach the essence of dwelling: nature, place, border, distance, behavior, furniture, and minimal architecture. The house has a two-storied hierarchy: the ground floor has a typical space arrangement of a residential house while the second floor has a unique space structure, which would cause another kind of universality. 9X9 geometric plan, which resembles the shape of Mandala, is an arrangement to embodies the possibility to create new space structure from the absolute geometry.
The 9X9 plan is encircled by a furniture corridor is the crucial concept of the house, which inverts the designated behaviors in the defined area. The furniture corridor stores all the functional products and activity of the house with size varia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tly-sized furnitures. Another residential project (6X6house), which is currently in its design precess, accommodates with stairway, outdoor space, and other behaviors with the same concept of furniture corridor connecting the vertical and linear circulation. The space of the second corridor with a breadth of 1,000mm to 1,200mm, which abuts on the furniture as the sliding door or the movable partition wall, is not just for the circulation, but contains variability. When all the variable doors of furniture corridor are closed, the existing space is either replaced with an arbitrary area to be created by another behavior or converted to one incorporated area. In addition, with this house, I suggest few methods for blurring a border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Firstly, the heterogeneous interior areas are composed of the transparency of glass. As exterior is inserted a midst the expanded interior spaces,thus,new spaces are created while borders blur through respective arbitrary areas. The exterior spaces inserted into the interior constitute another exterior area within the interior space, and that let us experience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porosity on the ceiling, which is composed of 1200x1200mm and 1800x1800mm modules. Secondly, the porosity module that shrouds the exterior wall of the house creates the illusion that the outside landscape smoothly has come inside and one is in natural settings. Like this,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landscape that has come in through the porosity gets boosted through the repeated sequence of interior and exterior. The interior area following the furniture corridor does not contain any partitions or doors to separate rooms; it distinguishes areas by the 150mm difference between floor levels. The transparency of the glass that forms the interior area creates another sense of physical distance in the dwelling space, while the exterior gardens that permeate the interior have their exclusive sky thanks to the porosity on the ceiling. The light percolating through the chasms comes inside to shed the shadow of the invisible wall, or soaks its body in the rain in a wooden bathtub that resembles the size of the building located in the garden with ambiguous inside and outside, or the silent winter-long snowfall whitewashes the interior space. Experiencing all these phenomena will be possible in another arbitrary area that would excite the primeval experience so far latent in nature. The light percolating through the chasms comes inside to shed the shadow of the invisible wall, or soaks its body in the rain in a wooden bathtub that resembles the size of the building located in the garden with ambiguous inside and outside, or the silent winter-long snowfall whitewashes the interior space. Experiencing all these phenomena may start in this place dwelling through the primeval experience, which has so far been latent in nature.